-
클러스터 HA 아키텍처 mutual active standbyIT이야기 2025. 4. 25. 13:19
고가용성을 보장하는 HA 솔루션에 대한 부분은 대부분 아실거라 생각이 됩니다. 보통은 Active-Standby 구조를 많이 사용하고 계실텐데, 최근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Mutual A-S 구조의 시스템을 보아서 이에 대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평상시에는 Active-Active 상태이지만, 2대의 서버 중 1개의 서버가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Active-Standby가 되는 설계라고 설명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래는 표와 텍스트로 표시해 본 A-A 아키텍처 구조 모습 입니다.
Virtual IP #1(가상 혹은 논리) Virtual IP #2(가상 혹은 논리) Physical IP #1(물리 혹은 실제) Physical IP #2(물리 혹은 실제) Application #1 Application #2 HA 솔루션 공유볼륨 HA 솔루션 OS #1 OS #2 Server #1 Server #2 #1과 #2는 서로 다른 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1의 경우 평상시에는 자신의 Active+#2의 Standby를 서비스 합니다.
#2의 경우 평상시에는 자신의 Active+#1의 Standby를 서비스 합니다.
#1의 장애 상황 시 #2 서버가 모든 서비스를 하고 있는 Active 구조가 된 모습 입니다.
장애 발생 Virtual IP #1, 2(가상 혹은 논리) Physical IP #1, 2(물리 혹은 실제) Application #1, 2 공유볼륨 HA 솔루션 OS #2 Server #2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bm ess 스토리지 파일셋 inode 증설 방법 (0) 2025.04.14 리눅스 DNS 통신 확인 명령어 (1) 2024.04.19 windows10 확장자가 ica인 파일을 실행하는 방법 (0) 2023.11.08 redhat linux 8.6 su - cannot open session : Module is unknown (0) 2023.11.06 linux redhat 8 repo 서버 구성 (0) 2023.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