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짜장면에 대한 이야기음식이야기 2022. 8. 16. 19:47
옛날이나 지금이나 외식메뉴 중의 하나로 꾸준하게 인기를 얻고 있는 건, 중국집이라는 데에 이견을 다실 분들은 없으실거라 생각이 됩니다. 그만큼 우리나라에서는 그만큼 인기를 누리고 있는 업종 중의 하나라고 생각이 됩니다.
(I don't think many of you would disagree that it is a Chinese restaurant that has been steadily gaining popularity as one of the food menus in the past and now. That's why I think it's one of the most popular industries in Korea)
1. 추억의 짜장면 그릇
짜장면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살이 두툼하게 붙은 수더분한 사기그릇에 담아야 제맛이 납니다. 그 모양새와 어울리게 듬뿍 담아낸 국수와 짜장에서 만든 이의 넉넉한 마음씨를 읽을수도 있기 때문이지요. 양파와 단무지, 또는 춘장을 내놓는 종지도 요란하지 않아서 좋구요. 식초와 간장병도 잊지 못할 추억의 식기이지만, 요즘에는 그 비주얼이 많이 변형된게 아쉽기도 합니다. 어쨌든 생김새나 장식은 다양하지만, 다른 그릇들과 우아한 하모니를 이루며 신맛과 짠맛을 낼 수 있답니다.
(Jjajangmyeon, old and new, is best served in a porcelain bowl with thick flesh. It is because you can read the generous mind of the person who made it with the noodles and jajang, which are prepared in abundance to match the shape. Onions, pickled radishes, or sauerkraut is also good because it is not noisy. Vinegar and soy sauce bottles are also memorable tableware, but it's a pity that their visuals have changed a lot these days. In any case, they come in various shapes and decorations, but they can taste sour and salty in elegant harmony with other dishes.)
2. 짜장면의 종류와 요리법(Types of Jajangmyeon and Recipes)
한국의 짜장면 맛이 달다면 중국의 짜장면은 찐맛이 강하고, 한국의 짜장면은 춘장을 볶다 물을 넣어 짠맛을 연하게 풀어주며, 양파와 양배추 등 야채를 듬뿍 넣어 전체적으로 단맛이 나게끔 만든답니다.
(If Korean jajangmyeon tastes sweet, Chinese jajangmyeon has a strong steamed taste, and Korean jajangmyeon is made by frying chunjang and adding water to soften the salty taste.)
옛날짜장(old-fashioned jjajang)
: 양파, 양배추, 감자를 굵직하게 썰어서 춘장과 함께 볶다 물과 전분을 넣어 만듭니다.
(It is made by slicing onion, cabbage, and potato thickly and frying it with chunjang, then adding water and starch.)
간짜장(soy sauce)
: 춘장에 물과 전분을 전혀 첨가하지 않고 기름에 볶아낸 것입니다.
(Chunjang is fried in oil without adding any water or starch.)
유니짜장(uni jjajang)
: 유니 혹은 유미 짜장으로 불리며 돼지고기를 곱게 갈아서 만드는 것으로 부드럽고 담백한 맛이 납니다.
(It is called uni or yumi jjajang, and it is made from finely ground pork and has a soft and light taste.)
삼선짜장(Samseon Jjajang)
: 3가지 이상의 해산물이 들어간 짜장면으로 보통 새우나 갑오징어, 건해삼을 넣어서 만듭니다.
(Jajangmyeon with 3 or more kinds of seafood is usually made with shrimp, cuttlefish, or dried sea cucumber.)
쟁반짜장(Tray Jjajang)
: 춘장과 면발을 함께 볶아낸 뒤 커다란 쟁반에 담아내는 것으로 부추를 첨가해 볶아낸 것이 특징입니다.
(Chunjang and noodles are stir-fried together and then served on a large tray.)
사천짜장(Sichuan Jjajang)
: 고추기름을 볶는데 사용하여 매우면서도 붉은 색을 띠는 것이 특징입니다.
(It is used for frying chili oil, and it is characterized by its very yet red color.)
고추짜장(red pepper paste)
: 고추기름과 청양고추를 듬뿍 사용한 장을 면발에 비벼 먹는 짜장면입니다.
(Jjajangmyeon is a noodle soup made with a lot of chili oil and cheongyang pepper.)
유슬짜장(jjajang jjang)
: 채소와 각종 재료를 면발과 같이 길쭉길쭉하게 썰어 넣어 소스를 남기지 않고 먹을 수 있으며 접시에 나오는 것이 특징입니다.
(Vegetables and other ingredients are cut into elongated strips like noodles, so you can eat them without leaving any sauce, and they are served on a plate.)
3. 짜장면 조리법(Jjajangmyeon Recipe)
1) 양파, 대파 , 마늘, 생강은 알맞은 크기로 썰어 줍니다.
(Cut the onion, green onion, garlic and ginger into appropriate sizes.)
2) 고기는 엄지손톱 크기로 사각썰기를 합니다.
(Cut the meat into cubes the size of your thumb.)
3) 생면을 끓는물에 3분정도 끓여낸 다음 찬물에 행구어 줍니다.
(Boil the raw noodles in boiling water for 3 minutes, then rinse in cold water.)
4) 팬에 기름을 넣고 먼저 고기를 볶다가 짜장도 같이 볶는다.
(Put oil in a pan and fry the meat first, then stir-fry the jjajang as well.)
5) 대파, 마늘, 생강을 넣고 볶다가 청주, 간장, 양파를 넣고 볶는다
(Add green onion, garlic and ginger and stir-fry, then add rice wine, soy sauce and onion and stir-fry)
6) 굴소스, 설탕을 넣고 간을 한 후 물을 붓는다.
(Season with oyster sauce and sugar, then pour in water.)
7) 물이 끓으면 녹말을 풀고 참기름을 가미하고 소스재료를 넣는다.
(When the water boils, dissolve the starch, add sesame oil, and add the sauce ingredients.)
8) 국수는 다시 뜨거운 물에 데쳐서 그릇에 담고 짜장을 부어줍니다.
(Blanch the noodles again in hot water, put them in a bowl, and pour Jajang.)
4. 짜장면 가격(Jjajangmyeon price)
짜장면이 서민들의 대표적인 외식 음식으로 자리 잡게 되면서 물가 변동에 따라 가격이 변하게 됩니다. 1960년대 초 쌀값이 3,010원(80kg 한 가마니) 할 때 15원 하던 짜장면 값은 1970년대 중반 140원, 1980년대 350원이었다가 1990년에서 2000년대를 거치면서 급등하게 됩니다. 1990년대 초기 1,300원이었던 짜장면 가격은 2000년대 경제 위기를 전후해 짜장면은 3,000원(쌀 한가머니 20만원)까지 치솟게 됩니다. 현재 짜장면 한 그릇은 천차만별인데, 아무리 저렴해도 4,000원~4,500원으로 60여년동안 450배가 넘게 올랐습니다. 이제 짜장면 한 그릇의 가격 변화가 서민들의 외식 문화에 여향을 끼칠 만큼 대중적인 음식으로 여겨지고 있음에는 틀림이 없답니다.
(As Jajangmyeon has become a representative food of the common people, the price will change according to price fluctuations. In the early 1960s, when the price of rice was 3,010 won (a bag of 80 kg), the price of jjajangmyeon was 15 won, but it was 140 won in the mid-1970s and 350 won in the 1980s, and then surged through the 1990s and 2000s. The price of jajangmyeon was 1,300 won in the early 1990s, but after the economic crisis of the 2000s, the price of jajangmyeon soared to 3,000 won (200,000 won for a bag of rice). Currently, a bowl of jajangmyeon is very different, and no matter how cheap it is, it costs 4,000 won to 4,500 won, which has risen more than 450 times over the past 60 years. Now, there is no doubt that the change in the price of a bowl of jajangmyeon is considered popular enough to have an effect on the eating out culture of the common people.)
5. 회상(reminisce)
지금처럼 음식이 흔하지 않던 시절, 학교 졸업식 때가 되면 흔희 보는 풍경중에 하나가, 중국음식점에 가면 부모를 따라 외식하러 나온 졸업생들이 눈에 많이 띄었답니다. 3년 동안 학교 다니느라고 고생했다며 모처럼 부모님들이 짜장면 한 그릇 사주는 날이 졸업식이었답니다.
(In the days when food was not as common as it is now, one of the most common sights at school graduation ceremonies was that when we went to a Chinese restaurant, a lot of graduates came out to eat out with their parents. The day my parents bought me a bowl of jajangmyeon was my graduation ceremony, saying that I had worked hard to attend school for three years.)
6. 철가방(iron bag)
8월 15일 광복절 이후 짜장면으로 대변되는 중국 음식은 신속 배달이라는 구호 아래 급속히 대중화되었는데, 이에 따라 음식 배달을 위한 '철가방' 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나무로 된 가방을 만들었지만 너무 무거운 데다가 넘친 음식물들이 나무에 스며들어 생기는 위생 문제 때문에 오래 사용되지 못하였습니다. 그 뒤 플라스틱 철가방도 만들었으나 금형 비용이 비싸 일반화되지 못하다가, 알루미늄 판과 함석판 같은 싼 재료가 등장함에 따라 오늘날에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하게 되었답니다.
(After Liberation Day on August 15th, Chinese food represented by jjajangmyeon became popular under the slogan of expedited delivery, and thus the history of 'iron bags' for food delivery began. Initially, wooden bags were made, but they were not used for long due to sanitation problems caused by being too heavy and overflowing with food seeping into the wood. After that, plastic iron bags were also made, but they were not widely used due to the high cost of molds.)
7. 짜장 컵라면의 유래(Origin of Jjajang Cup Noodles)
1980년대 들어오면서 대한민국의 국내 스포츠는 프로시대를 맞습니다.
야구와 축구 등 인기 스포츠의 프로화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경기장을 찾고 스포츠 관련 이야기 거리가 일상생활에 자주 등장하게 됩니다. 특히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 1988년 서울올림픽은 다양한 스포츠 연관 콘텐츠를 파생시키는데 대표적인 예가 음식문화의 변화입니다. 1980년 이전만 하더라도 외식산업이 크게 발달하지 못해 주로 가정에서 이루어졌으나 올림픽 이후 야외에서 휴대하기 쉽고 조리가 간편한 음식을 자주 찾게 됩니다. 이 때 등장한 것이 컵라면인데, 특히 스포츠 관람 시 허기진 배를 채우는데 용이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습니다. 봉지라면에 비해 비싼 가격으로 초기에는 판매가 저조하였으나 아시안게임과 올림픽을 거치면서 건립된 수영장, 롤러 스케이트장, 복합스포츠센터 등 체육문화 활성화에 따라 컵라면의 판매량은 급증하게 됩니다.
(In the 1980s, domestic sports in Korea entered the procedural university.
Due to the professionalization of popular sports such as baseball and soccer, many people visit the stadium, and sports-related stories often appear in daily life. In particular, the 1986 Asian Games in Seoul and the Seoul Olympics in 1988 ar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which various sports-related contents are derived. Even before 1980, the food service industry did not develop significantly, so it was mainly made at home. Cup noodles appeared at this time, especially when watching sports, because it is easy to fill a hungry stomach. Although sales were low in the beginning due to the high price compared to baggy ramen, the sales of cup noodles surged with the revitalization of sports culture such as swimming pools, roller skating rinks, and complex sports centers built during the Asian Games and Olympics.)8. 블랙데이(black day)
매월 14일은 대한민국 신세대들이 만들어 낸 비공식적 기념일로 알려져있는데요. 그 중에 4월 14일이 '블랙데이' 라고 불리며, 아직 연인을 구하지 못한 젊은이들이 검은 색 계통의 옷을 입거나 짜장면, 블랙커피 같은 검은색 계통의 음식을 먹고, 마시며 이날을 즐긴답니다.
(The 14th of every month is known as an unofficial anniversary created by the new generation of Korea. Among them, April 14 is called 'Black Day', and young people who have not yet found a lover wear black clothes or eat and drink black food such as jajangmyeon and black coffee.)
'음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들과 함께 먹는 치킨 어떤 메뉴를 시키면 좋을지 고민될때 (0) 2022.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