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I 베트남 프로젝트 수행시 Technical Architect(TA)가 알아두어야 할 것들..IT이야기 2023. 3. 24. 15:59
국내 프로젝트 수행시에는 일과 사람만 겪으면 되지만, 해외 프로젝트를 나가게 되면 환경적인 요인들을 포함하여 변수를 상당히 많이 겪게 된다. 특히나, 해외출장을 처음 나가는 경우에는 준비해야 하는게 너무나 많다는 걸 알게 될 것이다
사전 출장 준비
- 달러 환전 : 베트남여행을 많이 가보신분들은 아시겠지만, 베트남돈을 많이 가져가게 되면, 국내에 돌아와서 환전해주는 은행이 많지 않으며, 환전해준다고 해도 제 가격을 못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달러로 환전을 하게 되면 다 사용하지 못하고 남은돈을 국내에서 얼마든지 원화로 바꿀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출장기간이 길다면 넉넉하게 가져가시는 걸 추천드린다.
- 체크카드 : 현지 도착 후 외출시에는 현금을 적게 가지고 다니는 걸 추천드리는데, 트레블월렛 카드를 쓰면 편리하다.
Trabelwallet 이라는 어플을 통해 자신의 계좌에서 외화를 충전할 수가 있는데, 역시나 다 사용하지 못해도 한국에서 역시나 환불이 가능하다. Visa 가맹점이라면 수수료가 0%이니 유용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 신용카드 : 우리나라 돈으로 3만원 이상의 금액을 이용한다면 토스카드를 추천드린다. 해외수수료가 발생하지만, 3% 캐쉬백을 해주기 때문에 더 이득이다.
- 핸드폰유심 : 한국에서 로밍을 설정해도 되지만 비용이 결코 적지는 않다. 보통 한국에서 베트남 유심을 미리 구매를 해서 사용을 많이 하는데, 현지에 도착해서 유심을 구매하는게 더 저렴한 편이다. 하지만 베트남통신사 중에서 필자는 모비폰을 추천한다. 가격대비 전화와 문자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약구매 및 여행자보험 : 외국가서 아프면 정말 고생한다. 감기약 및 소화제 등을 챙기는 건 기본이고,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하여 여행자보험가입을 권유드린다. 단기출장 1~2개월의 경우 보험사마다 별 차이가 없기 때문에 가장 저렴한 걸 이용하시면 되겠다.
- 출입 : 출장가는 사업장의 출입, 장비 반입/반출 등의 절차에 대해서는 미리 숙지하고 가는 게 낫고, 배송 이슈가 없는지에 대해서의 확인도 필요하다
- 아키텍처검토 : 구축될 시스템을 설계하기 전 검토 작업은 단연 필요하다. 설계와 이행을 같이하는 TA라고 하면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따로 국밥이라고 하면, 도입 hardware 및 Software의 누락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꼼꼼하게 살펴 보아야 한다.
- 현황분석 : 신규시스템이라고 하면 관계가 없을 수도 있겠지만, 동일한 시스템을 커스터마이징하는 프로젝트라고 하면 As-Is 분석이 필요하다. 가능하다고 하면, 관련 문서 검토 및 서버에 접속하여 구성을 살펴보는게 구축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아키텍처설계 : 네트웍 구성부터 시작하여 서버/스토리지 구성설계는 미리 해두는 것이 좋으며, 설치 엔지니어와의 일정 조율은 필수이다. 또한 할수만 있다면 현지에 도착하기 전, 케이블 포설 및 IP할당은 국내에서 선 신청하고 가면 베스트이다.
현지 생활
- 시차적응 : 한국과의 시간차이는 2시간이기 때문에, 할수만 있다면 주말 전날인 금요일에 도착하는 일정을 추천드린다.
- 베트남동환전 : 돈을 교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환전소는 수수료가 대부분 비싼편이고, 신한은행도 있지만 아주 저렴한 편은 아니다. 호텔의 경우 이용하기도 편리하고 수수료도 크지 않아서 이용할 만하다.
- 교통수단 및 음식 : Grab 어플을 다운받아 트레블월렛카드로 등록 후 사용 시 택시/오토바이 이용 혹은 배달음식을 시켜 먹을 수 있는데, 바가지 쓸 일은 없어서 자주 이용했었다.
프로젝트 수행
- 언어 : 필자가 일했던 곳은 하이퐁이었는데, 이 근처에는 영어를 많이 쓰는 사람들이 많아서 대화하기에는 크게 어려움이 없었다. 발음이 명확하게 들리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못 알아듣는 경우에는 구글 번역기를 활용하곤 했다.
- 담당자 : 어떤 프로젝트나 마찬가지이지만, 업무와 관계된 관련자를 우선 파악하는게 필수이다. 사람이 아무리 실력이 뛰어나다고 해도 모든 걸 다 알수가 없듯이, 여러사람의 도움을 받으면 받을수록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된다.
- 사람과의 관계 : 겸손한 마음으로 프로젝트에 임하는 자세 또한 중요하다. 필자보다 TA경험이 풍부한 경력자들을 많이 만나봤지만, 실제로 그들과 일하게 되며 느끼는 것 중의 하나가, 자기가 겪은 성과를 기준으로 업무에 임하는 자세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실제로 함께 일하다 보면, 같은 상황을 만날 수 없기 때문에 고전하는 사례를 많이 보게 된다. 그랬을때 모른척 하지 말고 자기일처럼 도와주기를 권고드린다. 왜냐하면 내가 더 많이 배우게 되고, 당연한 얘기지만.. 내가 어려움이 생겼을때 도움도 받을 수 있으며, 그런것들이 모여 피가되고 살이 된다.
서비스 오픈
-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서비스 오픈을 위한 업무담당자와의 긴밀한 커뮤니케이션이 아주 중요하다. 실제로 DB 및 어플리케이션 담당자의 경우, 아주 수동적인 입장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TA가 요청사항을 미리 확인하여, 챙겨주는 것도 필요하다.
운영이관
-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산출물을 만들어내는게 TA의 역할 중 가장 크다라고 할 수 있겠다. 필자의 경험에 의하면 문서를 아주 잘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중요한 포인트만 문서에 기재하여 미리 제출하는게 가장 효율적이다. 어차피 문서 승인이라는게 한번에 되는게 없다. 검토만 해도 수십번 하는게 대부분이기 때문에, 빨리 검토되는게 좋다
마치는 말
- 프로젝트를 하면서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별일을 다 겪기도 한다. 하지만 모두 사람이 하는 일이기 때문에 충돌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어떤 상황에서도 적을 만들지 않아야 하는 이유는, 어디서 어떻게 만날지 모르는 사람들이고, 적으로 만들게 되는 순간 그 화살은 나에게 돌아올 수 도 있다'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 프로젝트 실무에서 바라본 시스템 아키텍트(TA) R&R (0) 2023.04.11 SI 프로젝트 수행시 시스템 아키텍트의 역할(Role)과 안좋은 실무 사례들 (0) 2023.03.31 SI 프로젝트 TA 아키텍처 검토서 (0) 2023.03.24 SI 프로젝트 TA 운영이관 유지보수 매뉴얼 산출물 (1) 2023.03.18 SI 프로젝트 TA 아키텍처 설계 상세 산출물 (0) 2023.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