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SI 프로젝트 수행시 시스템 아키텍트의 역할(Role)과 안좋은 실무 사례들
    IT이야기 2023. 3. 31. 14:02

    - 아키텍트란?
    : 말 그대로 설계자를 뜻한다.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직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할 정도로, 어느 분야에서건 꼭 필요한 리더 중 1명이라고 할 수 있다.프로젝트의 초반의 기틀을 마련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마무리가 될 때가지 모든 부분을 챙겨야 하는 위치임에 분명하다.
     
    - 시스템 아키텍트란?
    : IT 프로젝트에서 기초적으로 구성되어져야 하는 네트워크 및 서버구조를 설계하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구축하는 이른바, 인프라 총괄자라고 해도 무방하다.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를 시작해서 끝날때까지 관련담당자와의 긴밀한 커뮤니케이션 및 의사전달 그리고 문서작성능력 또한 필수적이다.

    - 시스템 아키텍트의 역할(Role)
    : 이들이 배치되는 포지션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한마디로 정의하기가 매우 어렵다. IT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업종 혹은 고객사마다 요구하는 바가 매우 다르기 때문에, 그 기대에 부흥해야 함은 당연하기 때문이다.

    현업에서 IA라고도 불리는 위치에서 뛰고 있는 필자도, SM(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을 한 10년 정도 하다가 SI로 일하고 있다. 보통 IA라고 하면 엄청나게 큰 대규모 프로젝트가 아니라고 하면, 1명 이상을 투입한다는 건 생각하기 힘들다.
    하지만, IA조직이 있는 기업 또는 인력교체 그리고 긴급지원을 나가게 되는 경우, IA들끼리 맞닥들이게 될 경우가 생긴다.
    경험에 의하면 여러명이 일하면 더 일이 잘 풀릴 것 같지만, 결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오히려 경력이 많은 사람일수록 자신이 지금까지 경험한 것 위주로 대화를 하고, 업무에 적용을 해 나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장벽이 부딪히는 경우가 많다. 한 사이트에서 계속 프로젝트가 일어나지 않는 이상, 항상 새로운 변화에 대응한다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안좋은사례1. 실무를 모르는 사람
    실 프로젝트에 투입하게 되면 아키텍처를 검토하고,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하고, 서비스 오픈 후 운영이관 후에 종료되는게 일련의 프로세스이다. 하지만 서버 구축시 혹은 구축 후에 서버에 접속해서 구성 또는 구성변경을 해야될때가 반드시 있다. 하지만, OS 구조 및 명령어를 아예 모르는 IA도 있다. 물론 대부분의 경우 전문 엔지니어들의 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크게 어려움이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엔지니어들의 도움을 한없이 받을 수 있는게 아니며, IA가 시스템에 대해서 속속들이 모른다고 하면, 고객 및 업무 담당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도 어렵고, 문제가 생겼을때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예를 들면, 유사시 서버에 대해서 아예 모른다고 하면, 장애로 이어질 가능성도 매우 크다.

    안좋은사례2. 실무를 하기 싫어하는 사람
    경력이 꽤나 많은 IA의 경우, 오로지 아키텍처설계만 하고 싶어하는 사람들도 있다. 나이 드신분들이 특히나 그런 경향을 많이 보이는데, 물리적인 하드웨어 구성이나 서버 명령어를 하는 행위를하는 등의 학습하는 것 자체의 귀차니즘을 느낀다고 해야 맞는 표현일 수 있겠다. 하지만 IA를 하는 이상, 실무를 모른다면 현업에서 오래 자리를 유지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고민할 필요성이 있어 보인다. 또한 자신이 아키텍처설계만 했다고 해서 계속 그 일만 할 수 있는 프로젝트가 떡 하니 기다리고 있는 것도 미지수이기 때문이다.

    안좋은사례3. 실무만 하는 사람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대규모 사이트에서는 IA조직이 거대하게 있는 곳도 있는데, 보통 이런데는 아키텍처검토서 및 설계서들의 양식이 대부분 정해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산출물 작성은 보통 수월하다고 말할 수도 있는데, 그에 수반하여 IA들이 정말 많은 일들을 하는 경우도 필자는 보았다. SI(시스템구축)+SM(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을 의도치 않게, 동시에 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어 가고 있는 곳도 분명 있다. 실무도 물론 중요하지만 IA의 핵심능력은 설계이기 때문에, 이런 곳에 계속 안주하고 있는 건 좋지 않다는 생각 또한 하게된다.

    안좋은사례4. 프로젝트를 골라서 하는 사람
    경력이 동일하게 많은데도 불구하고, 안해본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하여 어렵다고 느끼는 프로젝트는 피하려고 하는 사람이 있고, 가리지 않고 하는 사람이 있다. 자신의 바운더리를 넓히려면 다양한 걸 해보아야 한다는 게 필자의 생각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자신이 할 수 있는게 한정적이 되어버릴테니 말이다. 무턱대로 프로젝트에 덤빈다고 해도, 도저히 힘들면 도중하차 한다고 해도 절대 늦거나 후회가 없으리라 생각이 된다. 

    안좋은사례5. 사이즈가 큰 프로젝트만 해본 사람
    경력이 엄청 많은 IA분이신데, 대규모 사업만 하신 분을 보았다. 흔히 얘기하는 데이터센터 이전 구축등의 경험이 엄청 많으신 분이었다. 하지만 큰 단위만 하시다 보니, 단기성 혹은 소소한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엄청 어려움을 겪으시는 것을 많이 보았다. 왜냐하면 작은만큼 자신이 해야할 일들이 더욱 많고, 챙겨야 될 부분들이 세세하게 많기 때문이다.

Designed by Tistory.